한명기 『역사평설 병자호란』을 만화로 만난다!어제의 조선에서 오늘의 대한민국을 본다!강대국 사이에 ‘끼인’ 한반도의 운명은?2013년 출간되어 학계와 독서계 호평을 얻었던 한명기의 『역사평설 병자호란』이 만화로 재탄생했다. 정치, 외교, 전쟁이 복잡하게 교차하던 17세기 조선의 역사를 생동감 넘치는 그림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완벽하게 되살렸다. 명청 교체기 두 나라 사이에서 우왕좌왕 했던 조...
어제의 조선에서 오늘의 대한민국을 본다!강대국 사이에 ‘끼인’ 한반도의 운명은?2013년 출간되어 학계와 독서계 호평을 얻었던 한명기의 『역사평설 병자호란』이 만화로 재탄생했다. 정치, 외교, 전쟁이 복잡하게 교차하던 17세기 조선의 역사를 생동감 넘치는 그림과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완벽하게 되살렸다. 명청 교체기 두 나라 사이에서 우왕좌왕 했던 조선의 모습은 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등 ...
무엇이 현재의 중국과 중국인을 만들었는가?중국인이 쓴 중국사에서 그 답을 얻다“긴 강은 거세고 도도한 물줄기로 나는 듯 흘러가는데, 책을 덮고 들으니 만 마리 말이 달리는 듯하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누가 역사를 쓸지 묻는데, 홀로 횃불을 들어 중국을 비추네.”-저자의 시, 서문중국은 역사적으로 우리에게 가장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나라이며, 현대에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런 만...
책 소개무엇이 현재의 중국과 중국인을 만들었는가?중국인이 쓴 중국사에서 그 답을 얻다“긴 강은 거세고 도도한 물줄기로 나는 듯 흘러가는데, 책을 덮고 들으니 만 마리 말이 달리는 듯하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누가 역사를 쓸지 묻는데, 홀로 횃불을 들어 중국을 비추네.”-저자의 시, 서문중국은 역사적으로 우리에게 가장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나라이며, 현대에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
지금껏 다루지 않은 조선의 국가 경영 시스템을 한눈에 읽는 『조선관청기행』. 「한 권으로 읽는 역사」 시리즈를 집필한 역사 저술가 박영규가 완성한 조선 관청 사전이다. 정무를 관장한 일곱 재상의 최고 관청 의정부, 출세의 요직인 왕의 공식 비서실 승정원, 인사권을 쥐어 하늘이 내린 관직이라 불린 이조, 국가의 학문을 책임진 홍문관, 궁궐의 여성 공무원 전담 관청 내명부까지, 조선 왕조의 골격...
현명한 미래를 선택하게 하는 로마인의 지혜직장 그만두고 떠나서 만난 로마, 로마인로마인의 숨결은 아직 온 세계에 살아 있다!“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익히 들어본 말처럼 영향력이 엄청났던 로마! 해가 지지 않는 영국에 앞서 해가 지지 않는 로마가 있었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세계 제국을 이룩한 로마는 시공을 초월하여 오늘날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저자는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
독도문제 진실은 어디에 있는가?한국인이라면 자연스럽게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영토의식을 갖고 있다. 또 많은 근거들이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그런데 어째서 일본은 계속 거짓된 주장을 반복하는 것일까? 또한 우리나라에서 출간되는 독도 관련 서적이 1년에도 수십 편이다. 다양한 계층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어째서 이 문제는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 있을...
인도 식민역사의 사실만을 낱낱이 밝혔다!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의 의무이다올해는 인도(India)가 영국 제국의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한 지 71주년이 된다. 인도의 독립기념일은 8월 15일로, 연도는 다르지만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한 날인 광복절과 그 날짜가 같다.『인도, 암흑의 시대』는 인도 사람의 입장에서 본 영국 식민지 시절의 인도의 이야기이다. 샤시 타루르(Shash...
동서양 역사에 두루 정통한 독보적인 역사가 백승종 교수의 역작신사와 선비의 역사를 치밀하고 풍부하게 되살려내다“중세 기사도와 신사도는 어떻게 오늘날 시민의 교양으로 계승되었을까?”“선비정신은 한국 사회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서구 중세에는 기사가 있었고, 조선에는 선비가 있었다. 이 책은 기사도와 신사도의 특징과 역사를 탐구하고, 이를 한국 전통사회의 주역인 선비와 비교·분석한...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얼마나 아는가?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것은 잘못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고,우리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우리 한민족의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한 책. 우리가 신화라고 알고 있는 단군세기도 역사적인 사실을 신화화한 것이라고 밝힌 《한민족 역사의 재구성》은 그간의 알려진 역사 중 의구심이 남는 부분을 바로 잡고자 한민족사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했다.한민족사의...
역사가 이덕일이 10년간의 구상과 자료조사, 5년간의 집필 끝에 펴낸 『조선왕조실록』 제1권 《태조》. 흥미로운 스토리텔링과 인간 삶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인사이트, 특유의 날카롭고 단단한 문체로 기존의 단편적인 인물 비평에서 탈피해 조선의 역사를 만든 주역들을 입체적으로 평가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찾는다.제1권에서는 고려 최고의 무장에서 조선 왕조의 개창자로, 나아가 중원의 황제를 꿈꾸었으나...
역사가 이덕일이 10년간의 구상과 자료조사, 5년간의 집필 끝에 펴낸 『조선왕조실록』 제2권 《정종 태종》. 흥미로운 스토리텔링과 인간 삶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인사이트, 특유의 날카롭고 단단한 문체로 기존의 단편적인 인물 비평에서 탈피해 조선의 역사를 만든 주역들을 입체적으로 평가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찾는다.제2권에서는 태종이 두 차례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쥐고 인척과 공신을 가차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