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그것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승자들이 왜곡한 패자들의 역사적 진실, 지배계층이 기만한 민초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그동안 역사의 주변부로 밀려나 역사 기록에서 철저히 무시되고 배제되어 왔다. 여기, 우리의 머릿속에 정형화된 모습으로 박혀 있는 역사적 지식에 생기를 더해 줄 60편의 이야기가 우리를 5백여 년에 걸친 먼 역사로의 여행에 단숨에 빠져들게 한다. 자주국을 ...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그것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승자들이 왜곡한 패자들의 역사적 진실, 지배계층이 기만한 민초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그동안 역사의 주변부로 밀려나 역사 기록에서 철저히 무시되고 배제되어 왔다. 여기, 우리의 머릿속에 정형화된 모습으로 박혀 있는 역사적 지식에 생기를 더해 줄 50편의 이야기가 우리를 5백여 년에 걸친 먼 역사로의 여행에 단숨에 빠져들게 한다. 조선 건국...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 그것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승자들이 왜곡한 패자들의 역사적 진실, 지배계층이 기만한 민초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그동안 역사의 주변부로 밀려나 역사 기록에서 철저히 무시되고 배제되어 왔다. 여기, 우리의 머릿속에 정형화된 모습으로 박혀 있는 역사적 지식에 생기를 더해 줄 56편의 이야기가 우리를 1천여 년에 걸친 먼 역사로의 여행에 단숨에 빠져들게 한다. 고구려 ·...
역사학과 고고학을 아우르는 역작 [중국 물질문화사]. 한자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중국 고대 문명은 중국만의 것이 아니다. 한국, 나아가 동아시아의 세계관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면 중국을 이해해야만 한다. 불과 몇 세기 전까지 중국은 현재의 미국 이상으로 전 세계에 영향을 끼쳤다. 그중에서도 물질문화는 통치자의 사회적 생산과 삶 그 자체다.
우리 음식으로 배부르고 뇌 부르게 즐기는 조선사, 현직 역사 교사가 소화 잘 되도록 풀어낸 우리 음식, 그 속의 조선 야사. 우리가 먹는 음식에는 단순히 재료나 조리법 외에도 만들고 먹는 사람들의 삶과 문화, 나아가서는 역사가 담겨 있다. 요즘의 노량진 고시촌에서 파는 ‘컵밥’에 치열하게 공부하는 수험생들의 애환이 배어 있는 것처럼. 생겨난 지 얼마 안 된 컵밥이 이러한 만큼, 오래 전부터 ...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부부생활은 평탄하기만 했을까? 왕이라는 최고 권력자와 그의 반려자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되어 있을까? 《조선왕조실록》이라는 공식 기록 속에서 이들의 부부생활을 찾는 건 어렵지 않았다. 내밀한 부부간의 문제이기에 쉽게 그 기록을 확인할 수 없을 거라 생각했지만, 당대의 기록자들은 이 내밀한 부부생활을 가감 없이 기록했고, 조금 예민한 문제에 있어서도 충분한 힌트와 그 ...
이 책에서는 막걸리의 모습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면밀하게 분석한다. 먼저 왜 막걸리에 우리 조상의 얼이 담겼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며 막걸리의 과거를 논한다. 잊어버렸던 전통 주막의 소통문화를 살리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몫임을 지적한다. 그리고 막걸리가 얼마나 건강에 좋은지 과학적인 시각으로 막걸리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막걸리의 다양한 변신을 추구하며 활...
『이만큼 가까운 프랑스』는 여행지 프랑스가 궁금한 이들에게도, 혼란한 오늘의 프랑스 사회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싶은 이들에게도 맞춤한 책이다. 이 책은 사회, 역사, 지리, 정치·경제, 문화, 한불 관계 등 여섯 개의 주제를 두루 살피며 프랑스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 프랑스의 기원에서 시작해 절대 왕정, 혁명, 식민지 알제리와의 갈등 등 굵직한 역사를 되짚는 한편 마크롱, 파리 테러...
지식과 정보가 그 어느 때보다도 넘쳐나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어떤 경로를 지나왔을까? 지식인이 집단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한 근대 초기를 시작으로 지식의 민주화라는 흐름 속에 있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지식의 역사를 보여 주는 동시에 지식에 관한 다양한 논제를 다루는 21세기 최고의 문화사학자 피터 버크의 『지식의 사회사』에서 550년에 걸친 지식의 역사를 만나볼 수 있다.나폴레옹의...
먹고 마시는 일이 만들어온 문화와 역사의 대향연우리는 살기 위해 먹지만, 맛을 즐기기 위해 먹기도 한다. 그런데 인간이 그 맛을 향유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어쩌면 인류의 진화와 사회·문화의 발전은 생각보다 훨씬 더 먹고 마시는 일에 밀접한 게 아닐까? 역사학자 정기문 교수는 음식으로 역사를 들여다보면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어낼 수 있다는 확신으로 이 책을 썼다.단순히...
지식과 정보가 그 어느 때보다도 넘쳐나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어떤 경로를 지나왔을까? 지식인이 집단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한 근대 초기를 시작으로 지식의 민주화라는 흐름 속에 있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지식의 역사를 보여 주는 동시에 지식에 관한 다양한 논제를 다루는 21세기 최고의 문화사학자 피터 버크의 『지식의 사회사』에서 550년에 걸친 지식의 역사를 만나볼 수 있다.나폴레옹의...
콜럼버스는 왜 아메리카 대륙까지 항해했을까?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항해했을까? 콜럼버스는 자신이 새로운 땅을 발견한 줄도 몰랐다. 아메리카를 네 번이나 탐험을 하고나서도 계속 아시아에 다녀왔다고 믿었다. 사실 진짜 항해 목적은 바로 향신료였다. 이처럼 우리는 음식을 매개로 민족이나 지역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고 그곳에 가보고 싶어도 한다. 한 그릇의 음식이 우리를 새로운 곳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