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 간 글쓰기, 분과 간 학문하기, 한국 인문학의 새 지형도「하이브리드 총서」제8권『사라진 직업의 역사』. 이 책은 전화교환수, 변사, 기생, 전기수, 유모, 인력거꾼, 여차장, 물장수, 약장수 등 조선 근대 초기 혹은 근대 이전에 생성되었다가 현대에는 사라진 직업들의 흥망성쇠를 살펴본 것이다. 오랫동안 한국 근현대사에 대해 연구를 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근대 조선의 문화적·일상적 풍경을 ...
ㆍ 미국에서 백인이 가장 많은 주는 어디일까? ㆍ 최초의 식민지, 로아노크의 사람들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ㆍ 캘리포니아는 스페인 소설에 등장하는 섬 이름이었다 ㆍ 멕시코는 어떻게 텍사스를 빼앗겼나? ㆍ 미네소타, 미주리, 미시간… 왜 미국엔 ‘미’로 시작하는 지명이 많을까? ㆍ 알래스카는 정말 쓸모없는 땅이었을까? ㆍ 미국은 왜 굳이 하와이까지 영토에 편입했을까? 이 책은 50개 주와 도시의...
일제 강점기(혹은 근대극 도입기) 지역 극장의 기능은 지금보다 훨씬 다양하고 또 복합적이었다. 이 시기의 관객들은 연극(작품)을 관람하고 영화를 구경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회의를 진행하고 토론을 시행하고 강연을 듣고 필요한 대화를 나누고 해당 이슈에 대해 의견을 모으는 공간으로 극장을 활용하였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근대극 도입기) 남선 지역의 해안가(경상남북도 위주)에 산재했던 지역 극장...
단군신화와 고대설화 속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우리 역사의 숨겨진 사실을 밝히고자 한 《단군신화와 한국 고대사》는 우리의 국조(國祖)가 신화 속에서만 존재하는 허구의 ‘단군’이 아닌 실존 인물 ‘단군’으로 존재하였다는 것을 찾아낸 책이다.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 이 책에서 제시하는 가설은 감추어진 우리나라의 역사를 밝히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 고대의 단절된 역사를 재구성하여 이해...
사람들은 산에 기대어 강을 안고 산다. 산줄기와 강의 흐름에 따라 삶이 다양하게 갈라지고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자연에 적응해 온 삶의 흔적을 상세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지리지(地理志)이다. 지리지는 지역의 각종 정보를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으로 기술한 책으로, 자연지리 내용뿐 아니라 역사·문화, 사회·경제, 정치·행정·군사 등과 같은 인문지리 내용까지 담고 있다. ‘문적(文籍)의 나라’로 불...
간신의 역사는 인간 역사의 시작과 함께 탄생했다. 이 책은 오로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온갖 수단을 써서 나라를 망친 역사 속 간신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간신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저자는 〈조선일보〉 오피니언 란에서 인기리에 연재 중인 ‘이한우의 간신열전’을 토대로, 흥미로운 역사적 배경과 친절한 해설을 풍부하게 추가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간신은, ‘신하’라는 ...
식생활을 보면 그 나라의 진짜 역사와 문화가 보인다. 복식과 의례는 꾸며낼 수 있지만, 음식은 자연스럽게 일상에 스며들기 때문이다. 가령,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매운 음식을 즐겨 먹었을 것 같지만 매운맛을 내는 고추는 18세기 초가 되어서야 중국에 퍼졌다.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마라탕’ 역시 비교적 최근 음식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만두나 면에 대해 몰랐으며, 쌀이 아닌 콩이 서민의 주식이...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역사와는 조금 다른, 그렇지만 결코 사이비 역사는 아닌 내용들이 다채롭게 들어 있다. 고조선에서 발해 건국까지를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역사의 시작이라고 하는 단군으로부터 삼국시대라 일컫는 시대까지를 한 권 안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책을 역사책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역사를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다기보다는 ...
서양 역사를 통틀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두 문명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다. 헬레니즘으로 인해 유럽 문화가 성장했고, 헤브라이즘 즉 기독교 문화가 탄생하면서 현재 우리가 서구 문명이라 부르는 문화가 자라났기 때문이다.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문명은 격변으로 생겨났다. 그런데 그 격변이 청동기 시대 말에 일어났던 자연재해인 테라섬의 화산 분화로 인해 일어났다면 믿어지겠는가? 두 문명의 ...
문명은 인류에게 물질적 이득을 제공한 대가로 많은 것을 앗아갔다. 아이와 부모 모두를 위험에 내모는 출산 방식과 아이를 고립하는 육아, 무한 노동과 돈을 향한 숭배, 죽음에 대한 마음가짐까지, 지금 우리는 스스로 본성과 멀어졌음을 알아채지 못한 채 고통 받고 있다. 이 책은 문명에 찔린 현대인의 환부를 드러낸다. 그래서 이 책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문명의 폐해는 우리가 이제라도 회복해야 할 ...
환경 문제에 대처할 대안으로 최근에야 발명된 것으로 여겨지는 전기 자동차는 사실 휘발유 자동차보다 약 60년 먼저 태어났고 19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생산량이 휘발유 자동차를 훨씬 앞섰다. 스코틀랜드 오크니섬의 선사 시대 마을 유적지에서 발견된 화장실은 수세식이었고, 버스로 대표되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처음 고안한 사람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는 말로 유명한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이었다. ...
한겨레신문 기자 고경태가 20여 년 동안 취재한 베트남전쟁 한국군 민간인 학살의 모든 역사. 대한민국은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베트남에 군대를 파병했다. 최대 5만여 명의 군인이 베트남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군은 베트남 130개 마을에서 민간인 1만여 명을 학살했다. 『베트남전쟁 1968년 2월 12일』은 『1968년 2월 12일』의 전면개정판으로 1968년 2월 12일에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