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는 일, 과연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평생직장과 정년의 개념이 사라진 시대, 누구에게나 또 다른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온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생애 두 번째 직업, 당신은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그때, 내가 만약 새로운 나의 일을 찾았더라면…” 조금 더 빨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후회는 어쩌면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당신의 것이 될지도 모른다. 이...
우리 주변에 대화법은 천성적인 것으로 아무리 노력해도 잘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대화법은 천부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누구라도 조금만 기술을 습득하면 상대방으로부터 호감을 사고 나아가 이루고자 하는 꿈에도 다가갈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와 달리 다문화가정이 많고 따라서 부모 한 쪽의 언어와 우리 모국어로 말하는 환경에서 자라나게 되고 자연스럽게 두 개의 언어를 ...
한 장짜리 보고서도 제대로 쓸 줄 모르는 팀장, 공개 토론 자리에서 자기 의견도 논리정연하게 말하지 못하는 정치인, 학생들에게 개념 하나도 제대로 설명 못하는 명문대 교수, ‘전례가 없습니다’로 일관하는 ‘융통성 제로’의 공무원. 비즈니스 조직에서 학교, 정부, 종교단체까지 세상엔 왜 이렇게 무능한 사람들이 ‘한자리’한다는 위치에 있을까. 저자 로런스 피터와 레이먼드 헐은 정치, 법률, 교육...
이 책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아시아 리전 매니저로 일하고 있는 이소영 이사가 지난 8년간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IT 커뮤니티 리더 2,000여 명과 인터뷰하고 교류한 경험을 토대로 집필한 책이다. 커뮤니티 리더들은 우리가 기존에 중요하게 생각했던 학벌이나 경력이 화려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 IT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로 성장한 이들이다. 이 책은 이들이 어떻...
빌 게이츠, 마크 주커버그, 손정의, 마오쩌둥.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손자병법』을 늘 곁에 두고 읽었다는 것이다. 빌 게이츠는 『손자병법』을 중국 진출의 전략서로 삼았고,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와 투자의 신 손정의는 『손자병법』을 통해 경영마인드와 리더십을 배웠다고 한다. 마오쩌둥은 죽기 직전까지 머리맡에 이 책을 두고 읽었다고 한다. 대체 어떤 책이기에 2500년이 넘...
이 책은 정말 누구보다도 평범하게 살고 싶었던 평범한 직장인의 이야기를 담았다. 물론 직장인이었지만 행복했다. 일의 보람도 느꼈다. 하지만 늘 무엇인가 모자란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텅 빈 공허함과 함께 살았다. 나는 그 답을 책에서 찾았다. 그리고 작가와 강연가라는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순간 나는 정말 살아있음을 느낀다. 나는 사실 무엇인가 가르칠 자격이 없다. 막상 여...
글쓰기, 책쓰기의 시대다. 문학도가 아니어도 기획서에 보고서 등 수시로 써야 하는 비즈니스 글쓰기 능력이 출중하지 않더라도 이제 너도나도 글을 쓰고 책을 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든 성공을 위해서든 책 쓰라고 부추겨주는 주변 분위기에, ‘나의 버킷리스트’와 ‘비전보드’에 ‘작가되기’가 한 번쯤은 올라 있다. 글 솜씨가 있다면, 글을 쓸 시간과 소재도 많다면 걱정이 없겠지만, ...
마음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모든 것은 마음 먹기 나름이라는 말이 있다. 같은 환경, 같은 조건이라도 어떻게 생각하고 마음 먹느냐에 따라 행복할 수도 있고 불행할 수도 있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꿈이었던 저자는 어느 날 ‘행복해지기 위해 애쓰며 쉬지 않고 달려왔는데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 미래의 행복을 위해 지금 참아야 한다면 현재는 행복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KR 여사의 ‘호오포노포노’를 실천하는 삶 KR 여사는 열아홉 살 때 모르나 나라마크 시메오나 여사(하와이 원주민 전통 의료 전문가)를 만난 뒤로 40년 이상 호오포노포노를 통해 개인 상담이나 보디워크를 진행해 왔다. 하와이식 명상이자 치유법인 호오포노포노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물론, 진정한 의미로 사람들의 마음에 평화를 준다. KR 여사는 일상에서 어떤 문제를 체험했을 때, 호오포노포노를...
아껴도, 아껴도 항상 부족한 시간. 똑같은 24시간을 살아가는 데 왜 항상 내 시간만 부족한 것일까? ‘혹시 누군가 내 시간을 훔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 사회의 40대는 상사이자 부하, 가장이자 직원, 부모이자 자녀로서 양립(兩立)의 삶을 살아간다. 그러다 보니 항상 시간에 쫓기며, 만성적인 시간 부족 현상에 시달리게 된다. 이 책은 구조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우리 시대 40대 직장인들...
현재 군복무기간은 18개월(1년 6개월)이며 일수로 따져 ‘540’일이다. 남자에게 군 입대는 피할 수 없는 인생의 한 과정이다. 군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어떻게 잘 관리하고 사용하느냐가 앞으로 사회에서 본인의 운명을 가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에 비해 그리 길지도 짧지도 않은 어중간한 기간이지만 막상 군 입대를 앞둔 장병에게 국방부 시계는 멈춰 버린 시간처럼 길게 느껴질 것이다. 20...
이 책은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머신 시대에 전문직을 포함하여 수많은 근로자들에게 물음을 던진다. - 나는 로봇이나 스마트머신으로 대체될 것인가? - 나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 성공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 새로운 환경은 내 경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나는 과연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을 것인가? -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우리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