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노출하다 불공정성을 심화하는 뿌리 깊은 이중구조 해소 방안 모색 사회적 인식 변화와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구축 제안 《지속가능한 공정경제》는 경기연구원이 기획하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추천한 ‘공정과 지속가능 프로젝트’ 경제 편이다. 이 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질서와 새로운 경제...
푸른 잔디 길을 트램이 지나고 광장에는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을 즐기는 이들로 활기가 넘친다. 쇼핑을 즐기는 이들로 상점은 붐비고 카페에 모인 이들은 여유롭다. 화보가 아니라 프랑스의 중소도시 시가지 풍경이다. 하지만 이런 풍경이 사라질 뻔했다. 프랑스인들은 마을만들기에 대한 비전과 철학으로 주차장 같던 광장과 도로, 텅 빈 상점가를 오늘날 활기찬 거리로 만들어냈다. 같은 위기를 겪었던 프랑스...
저부담, 저복지의 한국 사회 현실 진단 기본소득과 기본서비스를 축으로 한 새로운 복지 모델 제시 의료·돌봄·주거·일자리·민주주의의 복지 담론과 정책 제안 《공정 사회를 만드는 새로운 복지》는 경기연구원이 기획하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추천한 ‘공정과 지속가능 프로젝트’ 복지 편이다. 이 책은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공정 사회 실현 방안을 파고든다. 공정 사회는 기본적 욕구의 평등, 잉여분의 형평성...
색깔로 코드화된 테러 경보, 침공, 드론 전쟁, 일상에 만연한 감시. 이 모든 것이 브라이언 마수미가 『존재권력』에서 이론화하고 있는 새로운 권력의 형태들이다. 테러와의 전쟁과 위기의 문화를 심도 깊게 분석하면서 마수미는 우리 시대의 작동논리라고 특징지을 수 있는 선제성의 출현에 주목한다. 이제 안보 위협이란 믿을 만한 정보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현실로 느껴지는 것이 되었다. 예전에는 국가...
이 책은 지성의 힘으로 금기를 넘어서며 새로운 시야를 만들어낸 이들의 책을 통해 그들의 삶과 생각을 들여다본 저작이다. ‘여성’이라는 이슈를 중심으로 하되, 남자도, 페미니스트가 아닌 사람도, 페미니스트이지만 마냥 선하지만은 않은 이들도 모두 다루고 있다. 굳건히 닫힌 문 앞에서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문을 두드린 이들의 이야기인 셈이다. 1장에서는 크나큰 성과를 남긴 여성 작가와 연구자에게...
‘사람이 무엇인가’는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이자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이다. 이를 통해 나다운 나를 깨우치고, 사람답게 살기 위해 절실한 것들을 깨닫는다. 그것은 온전한 사람이란 무엇인지 묻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길이기도 하다. 이에 교육, 생태, 전쟁, 종교 등 〈사람이란 무엇인가〉 시리즈를 출간해온 이다북스에서 이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 《인류와...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범죄를 고발하며 전 세계적으로 미투 운동을 촉발시킨 단 하나의 기사 3년간의 취재, 수백 건의 인터뷰 끝에 탄생한 퓰리처 상 수상 탐사보도 이면의 생생하고 치열한 기록 그들이 일으킨 행동의 시작, 그리고 변화의 시작 뉴욕타임스, 애틀랜틱, 아마존, NPR ‘올해의 책’ 선정 도서 플랜비 엔터테인먼트 제작, 캐리 멀리건 주연의 영화화 확정!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
2017년 6월 19일 문재인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이 나온 이래 현재까지 4년간 총 26번의 대책이 집중 투하됐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그 성적은 모든 국민이 체감하고 있다시피 그리 좋지 않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 6억 600만 원이던 서울 시내 아파트 중위 가격은 이제 10억 원 수준에 도달했고, 당시 10억 원 초중반대를 형성했던 강남 아파트 가격은 이제 30억 원이...
누적 조회수 2천3백만! 유튜브 〈박시영TV〉 진행자 박시영의 날카로운 예측과 캠페인 플래너 김계환의 필승 득심 전략 *** “옳고 그름이 아닌, 대중의 인식과 투쟁하는 것이 정치다”라는 책 속의 표현에 그 숱한 낭인들 사이로 유독 두 사람이 돋보이는 이유를 알게 된다. (정준희. MBC 〈100분 토론〉 진행자, 시사평론가) 박시영과 김계환은 지난 정부와 대통령, 여러 정치인의 측근에서 ‘...
MBC TV 다큐플렉스 1부 ‘압구정 김여사의 아파트 연대기’ 2부 ‘밀레니얼 아파트 연대기’ 화제의 원작?!! 천덕꾸러기에서 반 세기 만에 ‘불패의 신화’가 되어버린 아파트의 50년사 ‘영끌’로 대변되는 우리 시대의 욕망구조를 정확하게 파헤치며, 우리가 서 있는 자리를 온전히 들여다보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