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한ㆍ미관계 전문가로 활동해온 국립외교원 김준형 원장의 역작 『영원한 동맹이라는 역설: 새로 읽는 한미관계사』가 출간되었다. 한ㆍ미관계 150년 역사를 촘촘하게 살펴보는 동시에, 우리 대외정책의 핵심 상수이자 견고한 신화로 자리 잡은 한미군사동맹의 과거와 현재를 점검한다. 특히 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로 이어지는 최근 상황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전시작전통제권 반환, 사드 배치, 미ㆍ중...
중국의 막무가내가 심상치 않다. 막강한 국력을 바탕으로 이웃 나라, 외국 문화에 대해 시비를 걸고 우기다 못해 윽박지르기까지 한다. 우리나라의 김치와 한복이 자기네 것이라 주장한 것이 최근의 일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BTS의 밴플리트상 수상소감이나 가수 이효리가 예능프로에서 언급한 예명 ‘마오’를 두고 벌떼 같이 들고 일어선 것도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다. 2019년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한...
정치 리더의 역할은 무엇인가. 오늘날 한국 사회는 포스트코로나라는 시대적 불확실성에 놓여있다. 또한 올해와 내년, 두 차례의 굵직한 선거를 눈앞에 두고 있다. 바야흐로 대전환의 시대다. 이러한 시점에 역사적으로 회자되는 성공한 해외의 정치 리더를 살펴보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지금, 비스마르크》는 19세기 독일 통일을 이룩하고 복지국가의 기틀을 다진 철혈재상 비스마르크의 ...
우리의 집이 불타고 있다 세계적인 환경운동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나오미 클라인이 지난 기후 위기의 10년과 〈그린 뉴딜〉이 만들어갈 새로운 세상을 이야기한다. 『미래가 불타고 있다On Fire』는 기후 운동의 바이블로 평가받는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이후 클라인이 5년 만에 기후 변화를 주제로 쓴 책이다. 그는 이 책에서 두 번의 10년을 이야기한다. 우리가 허비한 10년(기후 위기가 ...
‘인터폴’이라고 하면 일반인들에게 어떤 이미지일까? 대부분 첨단 무기로 무장하고 국경을 넘나들며 테러 조직과 맞서는 비밀 요원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인터폴의 진짜 임무는 직접 범죄자들과 맞서 싸우는 것이 아니다. 인터폴은 “경찰을 연결하여 보다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든다(Connecting Police for a Safer World)”는 비전 아래, 수많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전 세계...
최고의 국제 정세 분석가 문정인이 말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 질서 전 세계를 뒤흔든 전대미문의 코로나 바이러스와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이후 날로 악화되는 미중 대결 구도가 세계 질서를 위협하고 있다.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달라질까? 외교ㆍ안보ㆍ통일 분야의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이자 전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문정인 연세대학교 명예교수는...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말 1부 미국 대 중국 01 미국이 직면한 최대의 도전 첫 단계 02 현대 중국의 실체 제임스 매디슨이 아닌 블라디미르 레닌 중국몽 03 무역과 절도 “세계사에서 가장 큰 절도” 바닥난 당근, 많이 남은 매 04 빅데이터, 인공지능, e-독재 인공 지능 e-독재 05 반대세력의 탄압 중국공산당의 지배 반대의 통제 행동하기 06 설득과 선동의 기술 중국의 가짜 뉴스 대중...
‘가정폭력’은 케케묵은 화제, 철 지난 소리가 아니다. 그 역사와 폐해에 걸맞게 논의된 적 없는, 심지어 페미니즘 대중화를 이끈 페미니즘 리부트의 수혜조차 입지 못한 사안이다. 미국 내 가정폭력 실태를 취재한 책 《살릴 수 있었던 여자들》이 〈뉴욕 타임스〉, 〈이코노미스트〉를 비롯한 유력 매체로부터 올해의 책(2019)으로 선정되며 저널리즘 상들을 휩쓴 까닭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외면해...
문화콘텐츠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생생한 정보까지! 문화란 무엇인가? 콘텐츠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이 시대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콘텐츠로 넘쳐나는 시대, 정확한 문화콘텐츠의 개념부터 동일한 콘텐츠라도 시대흐름에 따라 좋은 콘텐츠와 나쁜 콘텐츠로 구별되는 요인을 이해할 수 있어 콘셉트, 스토리텔링, 트렌드, 아이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현장실무능력을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