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일이 일어난 방』은 트럼프 대통령의 반대로 몇 번의 출간이 무산되었다가 우여곡절 끝에 빛을 보게 되었다. 존 볼턴은 ‘메모광’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백악관 국가 안보 보좌관으로 지내며 해당 시기에 백악관에서 일어난 일들을 상세히 기록했다. 이 책은 그 내용을 마치 드라마를 보듯 위트와 풍자를 곁들여 흥미진진하게 소개한다. 노련함과 혜안까지 겸비한 ...
당신의 분리배출은 틀렸다! 국내 최초의 한국형 분리배출 안내서『그건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우리가 내놓는 재활용 쓰레기의 실제 재활용률은 불과 40%, 나머지는 쓰레기로 남아 어딘가를 떠돈다. 재난이 된 쓰레기, 어떻게 해야 자원이 될까? 해법은 분리배출에 있다. 자원화할 수 있는 재활용품이 쓰레기로 처리되는 현실에서 벗어나려면, 배출자가 쓰레기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이 책은 헷갈리는 품목...
세계적인 북한 전문가 뤼디거 프랑크 교수가 30여 년의 경험과 연구를 종합한 『북한』 〈전체주의 국가의 내부관점〉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 저자는 외부인이면서 내부인의 시선으로, 사회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핵심적인 원리부터 일상생활의 풍경까지 북한체제의 핵심적인 속성을 설명한다. 2014~2016년과 2017~2019년에 북한에서 있었던 변화를 개괄한 두 편의 후기를 더함으로써, 북한에 관한 가...
2020년 11월 3일, 미국의 제46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실시된다. 미국의 선거 역사상 현역 대통령이 연임하지 못한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이지만, 이번 선거는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유리한 고지에 서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 4년간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정치ㆍ사회ㆍ경제는 극심한 혼란과 갈등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물론 이 모든 문제의 원인을 트럼프 대통령에게서만 찾을...
기후 위기 때문에, 동물이 불쌍해서, 건강에 좋다니까, ‘힙’해서 … 뭐라도 하고 싶지만 완벽할 자신이 없다면, 가늘고 긴 ‘회색 채식’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비건에 기웃거리거나 지향하고 있지만, 완벽하지 않아 쑥스럽고, 그렇다고 완벽해질 엄두는 나지 않아 고민인 ‘회색 채식인’들을 위한 가늘고 긴 비거니즘 이야기. 채식을 시도해본 사람이라면 공감할 수밖에 없는 도전과 실패의...
정치인 이낙연에게는 ‘엄중함’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총리 시절 엄부嚴父라고 불릴 만큼 매사에 엄중한 잣대를 들이대던 그의 성향은 국난극복위원장을 거쳐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당대표가 된 이후에도 변함이 없다. 그러나 그의 엄중함은 ‘아랫사람들’이나 관계자, 특정 사안에만 작동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에게 더 엄격히 작동한다. 저자 김봄은 이낙연과 함께 한 기간이 그리 길지 않음에도 이를 바로 ...
영국 보수당은 어떻게 300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대한민국 최고의 정치학자 강원택 교수가 분석한 보수의 성공 조건! 4.15 총선으로 진보는 압승을 거뒀고, 보수는 몰락의 길을 걸었다. 강력한 여당이 만들어졌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한 민주주의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서로를 견제할 수 있는 보수와 진보, 두 날개의 균형이 반드시 맞아야 하기 때...
『우리가 우리를 우리라고 부를 때』는 '추적자 불꽃' 불과 단, N번방 최초 보도자이자 최초 신고자인 이들의 르포 에세이이다. 1년전인 2019년 7월, ‘불’과 ‘단’은 취업을 준비하던 대학생이었다. 기자지망생이었던 불과 단은 대한민국의 여느 대학생들과 다름없이 취업스펙쌓기를 위해 공모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뉴스통신진흥회의 ‘탐사 심층 르포 취재물’ 공모전에 응모하기로 하고, 그동안 관심...
★★★ 출간 당일 100만 부 판매 ★★★ ★★★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 1위 ★★★ ★★★ 독일, 프랑스, 일본 등 18개국 판권 수출 ★★★ 트럼프의 출판금지 가처분 소송을 이기고 마침내 세상 밖으로 나온 미국 역사상 최고의 화제작! “왜 트럼프는 이 책을 비밀금고에 숨기려 발악했는가? 이 책을 읽으면 당신도 그 답을 알게 될 것이다!” _워싱턴포스트 트럼프의 조카이자 임상심리학자 메리 ...
〈다가오는 폭풍과 새로운 미국의 세기〉는 2020년대 미국이 직면할 격동과 그 이후의 전망에 관한 책이다. 하지만 조지 프리드먼은 〈한국어판 특별서문〉을 통해 한국의 독자들을 위해 그러한 미국의 변화가 세계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고, 한국은 그런 변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특별한 통찰을 제공한다.
한국 사회는 ‘정의’와 ‘공정’이 여전히 화두다. 고위 관료 자제의 특혜 문제, 공공의료 확충안에 대한 정부와 의사협회 간의 갈등, 인천국제공항 보안요원 정규직화(인국공 사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논란 등 ‘공정’을 문제 삼고 ‘정의’를 갈망하는 여론은 저마다 입장을 달리하고 세대 간 갈등 양상으로 비화하기까지 한다. 이 충돌하는 정의와 공정 들을 상식적인 토대 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