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차게, 격조 있게, 깊이 있게 일상의 소확행을 즐기는 방법 소확행이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의미다. 작은 행복으로 일상의 고단함을 물리치는 방법이다.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는 삶에 있어 내가 진짜 원하는 바를 찾아나가는 새로운 삶의 방식이기도 하다. 그것은 오늘 1mm 행복을 적립하기로 결심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결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언제 행복해질까? ...
꽃보다 붉은 단풍’이라 붙여놓은 것은 멋을 부리자는 것이 아니요, 특별한 뜻이 있어서도 아니다. 글을 쓴 순서대로 모으다 보니,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의 「산행」(山行)이라는 시에서 “서리 맞은 나뭇잎이 봄날의 꽃보다도 더 붉구나.”(霜葉紅於二月花.)라고 읊은 한 구절을 따서 썼던 글이 첫머리에 실려 있기 때문에, 그 제목을 그대로 책의 표제로 삼은 것이다.
일과 삶이 포개어지는 순간 마주하는 또 다른 나, ‘일하는 사람’! 다양한 직업인들의 흥미로운 비하인드 스토리에서 들춰 보는 일과 인생의 속성 ‘밥벌이’라는 절대적인 목적을 걷어내면 일은, 직업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문학수첩에서 새롭게 출간하는 에세이 시리즈 〈일하는 사람〉은 ‘직업인’의 관점에서 일상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낸다. ‘경제 활동’의 영역에서 벗어나, 우리가 인생을 살아...
우리 모두 보통으로 태어나서 보통으로 살아갑니다. 이를 알고 있으면서도 모른 척하면서 인위적인 특별함으로 본인 자신을 칭칭 감기도 합니다. 아니면, 보통으로부터 도피로 나 자신과 작별하기도 합니다. 사실 ’특별함‘ 이라는 건 멀리 있는 게 아닙니다. 모두가 가지고 있습니다. 특별해지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제 되어있는 특별함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보통에 대한 사색이 필요합니다. 일상을 되짚고 의...
까칠했던 골드미스, 5년의 경력단절을 지나 슬기로운 엄마가 되어 회사로 돌아왔다! 마흔다섯, 의외로 회사생활이 편해지고 재미있어지기 시작했다. 늦은 나이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자연스럽게 일을 그만두었다. 육아를 하며 전공을 살려 일본어 과외도 해보고, 인터넷 쇼핑몰도 해보고, 책도 쓰고 강의도 했다. 딱히 망한 것도 없지만 그닥 성공한 것도 없다. 창업 준비를 하다가 예전에 다녔던 회사로 ...
잘 산다는 건 대체 무엇이지? 어떤 어른이 괜찮은 어른인 걸까? 지금 이대로 괜찮으면 안 되는 걸까? 어릴 땐 어른이 되면 모든 것이 선명하고 성숙한 사람이 될 것 같았지만, 막상 되고 보니 여전히 나는 미숙하고 주변엔 어려운 일투성이다. 어떻게 사는 것이 정답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정답이 없는 우리의 삶에서 잘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괜찮은 사람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무언가 대단한 것을...
인턴에서 시작해 전문의가 되기까지, 긴 시간 병원에서 수없이 삶과 죽음을 가르는 순간과 기적을 목격한 저자가 삶의 불가해성을 문학적으로 기록했다. 한 사람의 환자마다 각자의 일상과 삶과 이야기가 있기에 경험하게 되는 연민이나 슬픔, 의사로서 좌절하거나 의료 시스템에서 느끼는 무기력함을 진솔하게 써내려가 독일 현지에서 수많은 독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우리나라 의료계 현실과...
작가는 남극에 가기 위해 면접을 보고, 극지훈련을 받고 곧바로 남극으로 떠났다. 원래 이 책의 콘셉트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20대의 삶과 생각’이었다. 내용엔 현실 부분이 거의 없어서 이상만 잔뜩 있는 사람처럼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흔히 말하는 20대의 사회적 통칭이었던 ‘N포’도 ‘YOLO’도 아닌, ‘재밌는 삶‘을 살겠다는 실천이 남극에 가게 되고, 브런치에 1년 반 넘게...
“너는 너의 시간 속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을 살고 있다고. 여름이 오기 전 꼭 말해주고 싶었다.” 『가끔 내가 마음에 들었지만, 자주 내가 싫었다』는 김우석 작가의 첫 번째 산문집으로, 빛이 보이지 않는 긴 방황 속에서 흔들리고 부딪히며 불안했던 완전하지 못한 마음의 문장들을 담고 있다. 우리는 모두 완벽하지 않다. 그 불완전함이 때로는 걸음을 멈추게 하고, 눈물짓게 하고, 후회와 상처를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