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년간 한반도 고기후를 연구한 서울대 지리학과 박정재 교수가 인류의 진화에서 조선 왕조의 흥망성쇠까지 기후가 어떻게 인류와 문명을 만들어왔는지 지구 역사의 맥락에서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여타의 책과 달리 외국의 사례를 차용하지 않고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기후와 환경, 인류의 역사를 하나로 엮은 새로운 한반도 빅히스토리의 탄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의 진...
알고리즘, 허수, 대수학, 기하학 등의 수학이 형이상학, 양자역학, 다중우주론,공학과 융합해 세상을 바꾸고 있다. 페이스북의 최고기술책임자가 된 메타버스 전문가, 구찌와 CU의 제페토 개점, 가수들의 라이브 콘서트 등 사회, 경제, 문화까지 앞으로의 우리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차세대 플랫폼 메타버스를 현실화시킨 수학적 발견들을 만나보자! 우리는 현재 21세기를 살고 있다. 20세기에서...
“표지만 봐도 펄쩍 뛸 정도로 충격적이다.” “가만히 바라보고 있으면 점점 정신이 붕괴할 것 같아.(※칭찬임)” “딸 아이가 기분 나쁘다고 하면서 기쁘게 읽고 있다.” 도대체 어떤 책이기에 이런 평가를 받았을까? 개성적인 고생물 일러스트로 한국에도 많은 팬을 가지고 있는 가와사키 사토시의 ‘이상한’ 동물 도감 시리즈 2권이 한국에 출간되었다. 이번에 ㈜사이언스북스에서 동시 출간된 『거북의 등...
“표지만 봐도 펄쩍 뛸 정도로 충격적이다.” “가만히 바라보고 있으면 점점 정신이 붕괴할 것 같아.(※칭찬임)” “딸 아이가 기분 나쁘다고 하면서 기쁘게 읽고 있다.” 도대체 어떤 책이기에 이런 평가를 받았을까? 개성적인 고생물 일러스트로 한국에도 많은 팬을 가지고 있는 가와사키 사토시의 ‘이상한’ 동물 도감 시리즈 2권이 한국에 출간되었다. 이번에 ㈜사이언스북스에서 동시 출간된 『거북의 등...
궁극의 물리 이론은 무엇일까? 시간과 공간에도 최소 단위가 있을까? 생명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노화는 치료할 수 있을까? 인공 지능이 과학자를 대신하게 될까? 누가 알았을까. 스파이크 단백질, mRNA(전령 리보핵산) 등 과학 전문 용어가 흔한 단어가 될 줄은 누구도 몰랐을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과학의 위상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이제 세계는 조금씩 일상 회복의 길을 모...
리센코는 20세기 가장 악명 높은 과학자다. 우리에게 리센코는 20세기 중반 소련 생물학계를 망하게 만든 원흉으로 알려졌다. 스탈린의 비호 아래 니콜라이 바빌로프를 비롯해 자신의 반대편에 있던 과학자들을 숙청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리센코가 옳았다는 주장이 속속 제기되었다. “현대생물학에 의해 트로핌 데니소비치 리센코의 진리가 확인되었다.” “센세이션!: 리센코 원사가 옳았던 것으로 드...
자연사와 역사와 만나는 시작점에 과학사가 있다. ‘과학사’는 말 그대로 과학과 관련한 역사다. 이 책은 지구에 살고 있는 3천만 종 이상의 생물 가운데 과학과 역사에 관심이 있는 단 하나의 종인 호모 사피엔스(슬기사람)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환경에 적응하면서 살았다. 적응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서식지를 바꾸었고, 그래도 소용이 없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멸종했다....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탄생하게 된 배경부터 우주, 시공간, 일상에서의 상대성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상대성 이론과 특수상대성 이론의 특성, 상대성 이론과 뉴턴의 중력 법칙과의 관계, 광속과 상대성 이론의 분석, 지구 표면의 곡률에 따른 시공간의 차이점, 우주의 크기, 블랙홀과 무한대의 곡률 등 상대성 이론의 모든 것을 만화로 알기 쉽게 풀어냈다.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은 과학기술의 기원과 동학(dynamics), 그것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학제적 분야이다. 과학기술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생겨났지만,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과학기술을 포함하는 사회 문제와 대중 논쟁, 정책적 쟁점들이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과학기술학...
인간은 죽는 순간부터 아주 풍부한 영양 공급원이 된다. 먼저 소화관과 피부에 들어있는 복잡한 미생물 생태계가 우리를 먹어치우기 시작한다. 야외에 있는 경우라면 사망하고 몇 분 안으로 파리와 딱정벌레에게 발견되어 그들의 알자리가 된다. 새와 포유류의 먹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일부 블랙베리덤불은 범죄가 저질러지는 곳에 굉장히 흔한데, 인간이 공급하는 영양분은 이 덤불의 입맛에 잘 맞는 것들이기...
나무 애호가를 비롯하여 숲 해설가와 분야 전문가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겨울나무 쉽게 찾기》의 전면 개정판이 출간됐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낙엽수와 상록수 550여 종을 1,300여 컷의 생태 사진으로 기록하여 설명과 함께 정리했다. 전면 개정판에서는 나무를 관찰하고 구별하기 쉽도록 겨울눈이 달린 잔가지 사진을 크게 확대해서 실었다. 본문은 ‘덩굴나무’, ‘떨기나무’, ‘키나무’로 구분하여...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은 과학기술의 기원과 동학(dynamics), 그것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학제적 분야이다. 과학기술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생겨났지만,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과학기술을 포함하는 사회 문제와 대중 논쟁, 정책적 쟁점들이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과학기술학...